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유머게시판

완주, 굴러들어온 1300억 제발로 찼다? 쿠팡 투자 무산 왜

손자병법 0 169 0 0
완주, 굴러들어온 1300억 제발로 찼다? 쿠팡 투자 무산 왜
입력 2022. 07. 24. 15:45
수정 2022. 07. 24. 16:16

https://news.v.daum.net/v/20220724154544321?x_trkm=t

한국을 대표하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전북 완주군에 첨단 물류센터를 짓기로 한 계획을 접었다. 쿠팡으로선 지난해 미국 증시 상장 이후 처음 발표한 국내 투자가 무산됐다. 쿠팡과 업무 협약을 맺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자치단체와 정치권은 ‘굴러들어온 복(대규모 투자)을 제 발로 찼다’는 책임론에 휩싸였다.

완주군은 24일 “쿠팡 측이 지난 21일 ‘완주군과 더 이상 물류센터 관련 협상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고 밝혔다. 쿠팡은 지난해 3월 전북도·완주군과 완주 테크노밸리 제2 일반산업단지에 1300억 원을 들여 10만㎡(약 3만 평) 규모의 물류센터를 짓는다는 내용의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올해 착공해 2024년 완공이 목표였다.

쿠팡 물류센터 백지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토지 분양가 갈등이 꼽힌다. 완주군과 효성중공업·오에스개발·동서건설·신성건설·한국투자증권 등으로 구성된 특수목적법인(SPC) 완주테크노밸리㈜는 쿠팡 측에 최종적으로 3.3㎡(1평)당 83만5000원을 분양가로 제시했다.
지난해 MOU 체결 당시 논의된 분양가(64만5000원)보다 30%가량 높은 가격이다. 이대로 계약을 맺으면 쿠팡은 애초 예상한 분양가보다 60억 원가량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이에 대해 완주테크노밸리 측은 “금융 이자 등 산단 조성비가 올라가다 보니 손해를 줄이기 위해 2019년 공고된 가격보다 분양가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지난 4월 완주군이 사전 조율 없이 해당 토지에 대한 일반 분양 공고를 낸 것도 불신을 키우는 요인이 됐다. 쿠팡 측은 “완주군이 투자 협약상 합의된 토지 분양가보다 더 높은 가격을 요구하다가 일방적으로 협의 없이 해당 토지에 대한 일반 분양 공고를 냈다”며 “다른 여러 합의 사항도 이행하지 않아 협약을 추진하기 어려워진 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쿠팡이 최근 물가 급등 등 세계 경제가 악화한 데다 주가 하락 등 경영난이 겹쳐 신규 투자에 부담을 느낀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한국판 아마존’을 꿈꾸는 글로벌 기업이 60억 원 정도의 추가 비용 때문에 1300억 원대 투자를 철회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는 취지다.

지난해 쿠팡 매출은 2010년 창사 이래 최대인 184억637만 달러(약 23조9282억 원)로, 1년 전보다 54% 늘었다. 매출 기준으로는 국내 최대 유통업체인 이마트(16조4500억 원)를 넘어섰다.
하지만 적자 폭도 사상 최대로 커졌고, 주가도 내려갔다. 쿠팡의 영업 적자는 14억9396만 달러(약 1조9421억 원)로 전년의 3배가 넘는 규모다.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지난해 3월 주가는 50달러(약 6만 원)를 기록했지만, 지난 22일(현지 시각)엔 17.64달러(약 2만3000원)로 거래를 마쳤다.
0
0
신고
0 Comments
번호 제목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