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유머게시판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병살타자 0 88 0 0
페이스타임, 에어드랍 등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아이메시지 (애플의 기본 메시지 앱) 때문.


특히 젊은층일수록 아이메시지는 국내에서의 카톡/페메/인스타 DM의 위상.

아이메시지는 아이폰끼리만 이용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유저에게는 일반 문자로 모드가 바뀌게 됨. 이때 일반 문자 말풍선이 파란색인 아이메시지 말풍선과 달리 초록색이기 때문에 Blue bubbles/Green bubbles라는 표현이 유행하게 됨.

전세계 테크 유튜버 중 가장 체급이 큰 사람 중 한 명인 미국인 MKBHD가 이에 관해 영상을 올리기도 함.

https://m.youtube.com/watch?v=BuaKzm7Kq9Q&t=194

아이폰 사용자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 사용자로 인해 일반 문자 모드로 전환될 때 불편함을 겪게 됨.

수신 확인, 메시지 입력 중 여부 확인, 메시지 리액션 (1년 전부터 카톡에도 추가된 기능) 이용 불가

57888.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메시지에 '좋아요'를 줘도 "'좋아요'를 해 줬어요." 내용으로 문자가 가서 보기 이상함.



7511555.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진짜 불편한 부분: 동영상, 사진 화질이 짤에서처럼 엄청 저하되어 전송됨.

22548889.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또 다른 심각한 문제는 단톡.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한 명이라도 끼게 되면 단체 메시지는 일일이 개별 문자로 전송되고 특정 메시지에 바로 답장을 할 수도 없어짐.

55557888.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자막에 나온 대로 아이폰 사용자가 별도의 앱으로 안드로이드 사용자와 메시징을 하지 않는 이상 메시징이 매우 불편해짐.

052588.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그 결과 10대 20대의 경우 거의 다 아이폰을 사용하는 게 자연스러워짐.

미국 젊은층의 아이폰 선호도나 이용 수치는 아래와 같이 압도적.

87558.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213719.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언론에서도 북미 1020 사이에서 아이메시지가 갖는 영향력에 대해 다루는 기사가 나옴.

crrffg.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만나는 이성에게 안드로이드라고 반농담식으로 꼽주는 행태에 대한 글들도 레딧 등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음.

782585.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025553641.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데이트 상대로 아이폰을 선호한다는 비중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오는 설문도 있을 정도.

x.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프리미엄 폰 시장에서 아이폰이 안드로이드 폰들을 압도한 지는 오래되었지만 중저가형 폰들까지 고려해 전체 폰 출하량을 추산하면 거의 모든 지역에서 안드로이드 폰이 아이폰보다 높은 출하량을 보임. 

하지만 북미 지역은 예외적으로 아이폰의 출하량이 다른 모든 안드로이드 폰의 출하량을 합친 것보다 높음.

20220702_135454.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추산 2022년 1분기 지역별 폰 출하량 퉁계 https://www.counterpointresearch.com/infographic-q1-2022-smartphones/)
 
구글에서도 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며, 구글이 참여 중인 차세대 문자 메시지 규약 RCS에 애플도 참여하면 SMS 이용으로 인한 안드로이드 - iOS간 불편 사항이 사라지지 않겠냐는 주장을 하고 있음. 하지만 RCS도 파편화되어 있다, 매번 출시 후 조용히 접는 구글 서비스들이나 개선하라는 비판도 받고 있으며, 이미 굳어진 대세를 뒤엎을 수는 없어 보임.



2_.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3.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구글은 최근에 안드로이드를 써야 하는 10가지 이유 같은 글까지 올리기도 함.

1.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전세계 IT, 대중 문화를 이끄는 북미 지역에서 특히 젊은 세대로 갈수록 아이폰이 사실상의 표준이라는 인식이 잡혀 있고 전체적으로도 아이폰의 영향력이 큰 것은 안드로이드 폰 업체들에게 뼈아픈 부분.

그런데, EU가 구글, 애플, 메타 등을 견제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제정 준비 중인 디지털 시장법 (DMA)에 이용자들이 서로 다른 메시징 앱을 쓰더라도 메시징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시징 앱 간 상호 운용성 보장이 포함되어 갑론을박이 있기도 했음.

특히 애플은 메시징 앱 개방 외에도 앱 사이드로딩 (외부 앱스토어나 앱 설치파일을 통한 앱 설치 허용)을 보장하라는 DMA의 또 다른 요구 사항으로 인해 큰 반발을 보였음.

quhshsx.jpg 삼성 갤럭시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폰이 북미에서 고전하는 이유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38613?sid=105)

DMA로 인해 메시징 앱 상호 운용성 보장이 의무화된다면 북미 시장에서 안드로이드 폰에 대한 인식 변화가 조금이라도 일어날 수 있을까?
0
0
신고
0 Comments
번호 제목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