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유머게시판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굿네임 0 99 0 0
먼저 고라니라는 종이 어떻게 등장했는지부터 알아보자

고라니는 신생대 마이오세에 처음 등장했음.
대충 아이스 에이지 생각하면 됨
그래서 고라니는 빙하기에 멸종한 다른 동물들과 생김새가 비슷함. 추위를 견디기 좋은 털에 겉으로 보이는 송곳니까지

gb5R7WT.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그 당시 동아시아는 대충 이런 모양이었음

E7p6PV8.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빙하기라 해수면이 낮아 서해는 육지였고 동해는 호수였는데, 당시 저지대였던 서해지역에 한반도와 중국의 많은 강들이 합쳐져 거대한 수계를 이루고 있었음. 이 지역에 고라니가 많이 서식했던 것임.

그렇다면 고라니가 왜 이 지역에서 등장해서 번성했는가?
그건 고라니가 물을 좋아하기 때문임.

adw0ztD.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헤엄을 잘 치고

NSf6nSg.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가끔 바다에서 조난당한 채로 발견되기도 함.

아무튼 이런 고라니의 특성상 넓은 고황하지대 수계에 널리 서식했는데, 빙하기가 끝나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고라니는 중국 동부와 한반도 서남부에 갈라져 서식하게 됨.

이후 오랜시간동안 따뜻하고 물이 많은 저지대에 서식하게 됨.
(산지나 추운 지역에서는 노루나 사슴 같은 경쟁자한테 밀림)

고라니의 개체 수가 급격히 불어난 건 꽤 최근의 일임.

Iipe64P.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해수구제사업과 6.25 전쟁에 의해 고라니의 천적인 대형 식육목(호랑이, 표범, 늑대, 스라소니 등)이 절멸하고 경쟁종인 사슴, 노루 등도 멸종하거나 개체 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에 생태적 지위가 확대된 고라니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함.

경쟁자도 없는데다 천적까지 없으니 급속도로 개체수가 불어난 것. 우리나라에는 삵, 수달, 너구리, 족제비 등 중형 식육목만 남아있는데... 그 중 성체 고라니를 사냥할 수 있는 것은 담비뿐임

hxPpK1l.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그나마도 개체 수가 너무 적지만.

반면 중국에서는 경쟁자도 많고 천적도 많아서 장쑤 성 등지에 제한적으로 서식함.

급속도로 개체수가 증가했다는 가설은 유전자 다양성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개체수가 훨씬 적은 중국 지역의 고라니보다 우리나라 고라니가 유전자 다양성이 더 적음.

iVoN3Td.png 왜 우리나라에는 고라니가 많은 걸까?

거기다가 고라니는 쓸모가 없어 사냥할 유인도 적음.
고라니는 크기가 작은데다 털가죽도 매우 약함.
내장과 혈액의 노린내가 매우 심해서 고기로 쓰기도 까다로움
그리고... 기생충이 매우 많다... 고라니를 고기로 쓰려면 얼렸다 녹이는 과정을 두번 반복해서 기생충을 다 죽여야 할 정도.
그러니 고라니를 발견해도 함부로 만지지 말자
(어차피 죽은 고라니가 아니면 잡기도 힘들겠지만)

고라니는 개체수가 많은만큼 로드킬되는 야생동물 중 거의 90%에 육박함. 건수로 따지면 1만 건 정도.
하지만 새로 태어나는 개체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계속 불어나고 있다. 물가의 저지대는 인간이 차지했지만, 어차피 경쟁자가 없으니 깊은 야산에서도 잘 살 수 있기 때문. 다만 먹을 것이 부족할 때는 인간과 충돌하기도 한다.(주로 농작물을 훔쳐먹음)

정리
1. 고라니는 구 서해지역에서 발생해 현재의 중국 동부와 한반도에 제한적으로 서식함
2. 한반도에서는 천적과 경쟁자가 없어진 최근에 급격히 불어남
3. 쓸모가 없어 사냥할 유인도 적고, 해서 유해조수가 되었다
0
0
신고
0 Comments
번호 제목
Category